앱을 사용하다 보면 ‘무료 체험’을 클릭했는데 어느새 유료 결제로 전환되거나, 탈퇴 버튼이 도무지 보이지 않아 짜증 난 경험 한 번쯤 있으셨을 거예요. 이런 사용자 기만 디자인은 모두 ‘다크 패턴(Dark Pattern)’에 해당돼요. 다크 패턴은 사용자가 원치 않는 방향으로 행동하게 만드는 디자인 기법인데요. 2025년 4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이를 “이용자의 자율적 선택을 제한하거나 정보를 의도적으로 왜곡하는 UI 설계”로 정의하며, 관련 가이드라인 개정안도 발표했어요. 이번 글에서는 쇼핑앱, 게임앱 등 앱 속에서 발견할 수 있는 다크 패턴 유형과 보호법을 상사하게 설명 드릴게요.
목차 |
1. 다크 패턴이 왜 문제인가요? |
2. 앱에서 자주 보이는 다크 패턴 유형 6가지 |
3. 실제 사례로 보는 앱 다크 패턴 |
4. 2025년 다크 패턴 관련 규제 동향 |
5. 사용자가 스스로 보호하는 방법 |
맺음말 |
1. 다크 패턴이 왜 문제인가요?
다크 패턴은 단순한 불편함을 넘어 소비자의 권리 침해, 개인정보 유출, 금전적 피해로 이어질 수 있어요. 특히 앱 기반 서비스에서는 다음과 같은 유형들이 빈번히 사용되고 있어요.
2. 앱에서 자주 보이는 다크 패턴 유형 6가지
① 자동결제 유도 (Forced Continuity)
무료 체험을 유도하지만, 해지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결제가 되는 방식이에요. 결제 전 확인 안내가 부족하거나, 해지 절차가 복잡하게 설계되어 피해가 많아요.
② 해지 버튼 숨기기 (Roach Motel)
가입은 쉽게, 탈퇴는 어렵게 만들어 사용자를 가두는 구조예요. ‘설정 → 계정 관리 → 기타’처럼 여러 단계를 거쳐야만 해지 버튼이 나오는 경우가 대표적이에요.
③ 혼동을 유도하는 문구 (Confirmshaming)
‘혜택을 포기하시겠어요?’ 또는 ‘이 기회를 놓치시겠습니까?’처럼 이탈 선택지를 부정적으로 표현해 사용자를 압박하는 방식이에요.
④ 유도성 색상과 버튼 (Visual Interference)
‘동의’ 버튼은 진한 색으로, ‘취소’는 흐리게 처리해 특정 행동을 유도해요. 특히 위치 추적, 광고 수신 동의 등에서 많이 활용돼요.
⑤ 가짜 타이머와 한정 수량 (Scarcity Pressure)
‘00:59 남음’, ‘2명만 구매 가능’ 등 심리적 압박을 유도하는 허위 UI예요. 실제로는 반복 노출되는 구조로, 사용자 행동을 왜곡시켜요.
⑥ 기본값으로 설정된 수신 동의 (Preselection)
회원가입 시 체크박스가 기본으로 선택돼 있어 광고, 위치정보 활용 등에 동의한 상태로 가입되게 만들어요.
3. 실제 사례로 보는 앱 다크 패턴
국내 A쇼핑앱은 무료배송 쿠폰을 받으려면 프리미엄 회원 가입이 필요하고, 결제 페이지에는 자동결제 해지 방법이 명시되지 않았어요.
모바일 게임 B앱은 푸시 알림을 끄려면 설정 메뉴 5단계를 거쳐야 하고, 버튼 색상도 취소보다 수신 유지가 눈에 띄게 돼 있어요.
이런 구조는 모두 다크 UX 패턴에 해당하며, 한국소비자원에서도 소비자 권리 침해로 지적하고 있어요.
4. 2025년 다크 패턴 관련 규제 동향
2025년 1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디지털 서비스 사용자 보호 정책”을 통해 모바일 앱·웹사이트 UX 설계 시 다크 패턴 금지를 명시했어요.
- 앱 자동결제 유도 시 사전 고지 의무화
- 탈퇴 버튼 시각적 접근성 확보 권고
- 광고 수신 동의는 기본 해제 상태로 설정
또한 유럽연합(EU)은 디지털 서비스법(DSA)을 통해 다크 패턴 UX를 불법화하고, 위반 시 매출의 최대 6% 과징금을 부과하고 있어요.
5. 사용자가 스스로 보호하는 방법
- 앱 설치 전 이용약관·결제 조건 확인
- 무료 체험 종료 시점을 미리 캘린더에 기록
- 탈퇴·해지 방법이 불명확하면 즉시 고객센터 문의
- 앱 알림 설정과 개인정보 권한을 직접 조정
맺음말
앱 속의 화려한 UX는 때로는 사용자의 선택을 제한하거나, 왜곡된 행동을 유도하는 수단이 될 수 있어요. 이제는 예쁘고 편리한 인터페이스보다 윤리적이고 투명한 설계가 중요해지고 있어요.
사용자 입장에서도 다크 패턴에 대한 이해와 경계를 통해 소비자 권리를 스스로 보호할 수 있어야 해요.
지금 사용하는 앱의 탈퇴 버튼, 무료 체험 종료 조건을 한 번 확인해 보세요. 생각보다 많은 앱이 조용히 사용자를 유도하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크패턴 관련 이전 글도 참고하세요 |
소비자 우롱하는 ‘눈속임 상술(다크패턴)’에 대한 규율 확대 |
쇼핑앱 결제할 때 당했나요? 다크 패턴 알아보기 |
'알아두면 복이 되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제 해지 어렵게? 구독경제의 함정 (2) | 2025.05.10 |
---|---|
좋아요의 함정: SNS가 당신을 조종하는 방법 (0) | 2025.05.10 |
쇼핑앱 결제할 때 당했나요? 다크 패턴 알아보기 (0) | 2025.05.09 |
보이스피싱 막는 비대면 계좌 차단법 (0) | 2025.05.09 |
아이폰 재난문자 설정·해제법 총정리 (0) | 2025.05.06 |